2021. 8. 18. 23:18ㆍ카공리스트/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s
AWS 리전
회사의 데이터센터가 하나인데, 그 한 곳에 자연재해가 발생하거나 정전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면 매우 아찔할 것이다.
AWS는 리전이라고 부르는 대규모 그룹에 자체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여 재난 발생에 대비한다.
여기서 리전은 파리, 도쿄, 상파울루, 더블린, 오하이오 같은 전세계 곳곳을 의미한다.
즉, 비즈니스 의사 결정자는 리전을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리전을 선택하는 기준은 4가지가 있다.
1. 데이터 거버넌스 및 법적 요구 사항 준수:
회사와 위치에 따라 특정 영역에서 데이터를 실행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의 모든 데이터를 영국 내부에 유지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면, 런전 리전을 선택한다.
2. 고객과의 근접성:
고객과 가까운 리전을 선택하면 고객에게 콘텐츠를 더 바르게 제공할 수 있다.
3. 리전 내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경우에 따라 고객에게 제공하려는 기능이 가장 가까운 리전에 없을 수 있다.
개발자가 Amazon Braket(AWS 양자 컴퓨팅 플랫폼)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기를 원한다고 가정하자.
현 시점에는 아직 Amazon Braket이 전 세계 모든 AWS 리전에서 제공되지 않으므로 개발자는 이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리전 중 하나에서 이 플랫폼을 실행해야 한다.
4. 요금:
리전에 따라 서비스 비용이 다를 수 있다.
상파울루 리전의 경우, 브라질의 세제 때문에 미국의 오레곤 리전과 비교하여 동일한 워크로드를 실행하는데 50%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가용 영역
가용 영역은 리전 내의 단일 데이터 센터 or 데이터 센터 그룹이다.
가용 영역은 서로 수십 마일 떨어져 있다.
이 간격은 가용 영역 간의 지연 시간(콘텐츠가 요청된 시점과 수신된 시점 간의 차이)이 짧을 정도로 충분히 가깝다.
그러나 리전의 한 부분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여러 가용 영역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줄일 만큼 멀리 떨어져 있다.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여러 데이터센터들이 모여 가용 영역이 되고
여러 가용 영역들이 모여 리전이 되고
여러 리전들이 모여 글로벌 인프라를 구성하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북부 리전의 단일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고 가정하자.
인스턴스가 us-west-1a 가용 영역에서 실행 중이다.
us-west-1a에 장애가 발생한다면, 이 인스턴스가 손실된다.
모범 사례는 한 리전의 가용 영역 두 개 이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위 그림에서 두 번째 Amazon EC2 인스턴스를 us-west-1b에서 실행하도록 선택한다.
us-west-1a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us-west-1b에서 실행된다.
'카공리스트 > 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와의 연결 (VPC) (0) | 2021.08.19 |
---|---|
AWS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방법 (0) | 2021.08.19 |
다양한 컴퓨팅 서비스 (0) | 2021.08.17 |
메시징 및 대기열 (1) | 2021.08.16 |
Elastic Load Balancing을 사용하여 트래픽 리디렉션 (0) | 2021.08.16 |